트레이딩뷰 1위 필수지표인 스퀴즈 모멘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보조지표는 실제 수익률 98% 이상을 자랑하며 트레이딩뷰에서 1위로 자리잡고 있는 지표인데요
코인전문가, 주식전문가가 되기 위해 나름대로의 차트분석을 하려다 보면 주가(가격이) 갑자기 위아래로 펑 튈때가 많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그런 펌핑으로 수익을 내기위해 지루한 횡보장에서 매수하고 계속 기다릴수만도 없는 노릇이죠, 그렇다면 이렇게 생각해보는겁니다.
왜? 저타이밍에 크게 가격이 올랐을까? 미리 알수는 없을까? 알수만 있다면 수익을 크게 가져갈 수 있을텐데, 하고 생각 해보는거죠.
거기에 대한 답은 오늘 글에서 해답을 찾으실 수 있을겁니다.

그 이유는 스퀴즈 모멘텀이라는 지표는 가격이 크게 움직이기 직전! 가격 변동의 거의 없는 횡보장을 포착하고, 후에 방향성까지 예측할 수 있는 엄청난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어떻게 사용하는지 바로 알아볼까요?
스퀴즈 모멘텀 지표란?
위의 서론에서 말씀드렸듯이 스퀴즈 모멘텀은 존 카터라는 사람이 개발한 지표입니다. 이런 지표를 만들어 주심에 먼저 감사인사를 드리고 싶네요.
일단, 이 지표는 볼린저밴드와 켈트너 채널이라는 지표를 기반으로 스퀴즈(압축상태) 구간을 감지한 뒤, 차후에 강한 모멘텀(가격의 변동)이 발생할때를 모두 시각화 해놓은 지표입니다.

따라서 매매시 아주 유용한 보조지표라고 할수있습니다.
여기서 핵심개념은 ”조용한 횡보장에서 에너지 축적, 에너지를 크게 폭팔시키며 가격 상승 또는 하락의 시각화“라고 생각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또한 해당 지표는 트레이딩뷰 에서 손쉽게 무료로 이용이 가능하니 글을 읽기전 트레이딩뷰 사이트를 켜놓고 따라하면서 글을 읽어보시는게 도움이 많이 될듯합니다.
자, 그럼 일단 지표마다 있는 설정값을 알아야 매매를 할수있겠죠?
스퀴즈 모멘텀 설정값
트레이딩뷰 지표추천 1위인 만큼 따로 설정할 설정값은 사실 없습니다. 기본 설정 그대로 사용해주시면 되기 때문입니다.
대신 설정값에서 표시하는바가 무엇인지 정도는 알아야되겠죠, 스퀴즈 모멘덤 지표는 볼린저밴드와 켈트너 채널이 겹합된 지표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따라서 두 설정값을 같이 설정해줘야 하는것이죠.
BB Length (기간): 20
볼린저밴드의 기간을 뜻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간은 볼린저밴드를 계산할 때 사용되는 기간, 즉 20일 이동평균기준이 될수 있습니다.
BB MultFactor: 2
볼린저밴드의 배수를 뜻합니다. 표준편차의 몇배를 사용할지를 정하는것으로 보통 볼린저밴드의 표준편차는 2로 많이사용합니다.
KC Length (기간): 20
켈트너 채널의 기간을 뜻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기간은 볼린저밴드와 똑같이 켈트너 채널을 계산할 때 사용되는 기간입니다. 즉 20일이 되는거죠, 대신 볼린저밴드와 다르게 켈트너 채널은 EMA(지수이동평균)을 기준으로 합니다.
KC MultFactor:1.5
볼린저밴드와 마찬가지로 켈트너 채널 배수를 뜻합니다. 해당 지표는 ATR(평균 진폭)의 몇 배로 채널 폭을 정할지를 설정하며 평균 1.5가 적합합니다.

위의 설명과 같이 스퀴즈 모멘텀은 이미 기본 설정값이 적용이 되어있으며, 이 설정값 그대로 사용해주시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 이유는 통계적으로 90% 이상이 그 설정값 안에서 가격이 형성되며 이것을 넘었을 경우를 판단하며 만들어지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대신 트레이딩뷰에서 위 설정을 정하는곳이 인풋 설정값이며,
모습의 설정값 즉 색상, 선 등을 설정하는 설정값은 변경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매매에 도움이 되기 때문인데요, 방법은 아래에서 바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색상 설정값
우선 플롯의 칼라 0,1,2,3의 색상은 그대로 두고 불투명성을 100까지 끌어올려줍니다.

위사진처럼 말이죠,
그리고 두번째 플롯의 칼라는 본인이 좋아하고 눈에 띄는쪽으로 설정해주시면 되는데, 저의 경우 칼라0(빨강),칼라1(노랑),칼라2(흰색)으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똑같이 불투명성은 최대 100까지 끌어올려줍니다.

위 사진처럼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다 셋팅하셨다면 아래의 사진처럼 하단지표 색상이 변경된 것을 보실 수 있는데요,

위의 초록막대기와 아래의 빨간 막대기가 모멘텀 지표입니다. 그리고 진한 초록 막대기는 강한 상승을 의미하며 연한 초록은 약한 상승을 의미 합니다.
또한 아래로 향하는 진한 빨간 막대기는 강한 하락을 의미하며 연한 빨강을 약한 상승을 의미합니다.
그럼 이 지표로 매매 하는 방법을 설명할텐데요, 그전에 스퀴즈 모멘텀 지표와 같이 사용하면 도움이 될 기초 지표들을 같이 공부 해보시는것이 좋습니다.
이유는 하나의 지표만 사용하는거 보다 두세가지 정도를 같이 보고 매매하는것이 안정적이기 때문이죠, 그중 가장 기본이 되는 두가지를 선정 해보았습니다.
스퀴즈 모멘텀 매매방법
제가 계속 강조드리는 내용이 하나있습니다. 그게뭐죠?
바로 횡보장과 강세장을 구분 해준다는 지표가 바로 이 지표입니다. 또한 시각화 되어있기 때문에 눈으로 보고 바로 매매에 임할수있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말씀드렸죠,
그럼 어떻게 매매를 하는지 바로 알아보러가시죠!
스퀴즈 모멘텀지표는 크게 두가지 포인트에 집중해주시면되는데요,

위 사진에서 중간에 보이는 점들이 보이실겁니다. 이 점들이 스퀴즈 구간입니다. 또한 이 점들이 노랑 부근일때는 횡보장, 즉 스퀴즈 구간이라고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그렇다면 노랑구간이 끝나고 흰색 부근일때는 스퀴즈가 해제되어 변동성이 나타날수있다는 뜻이 되는거죠, 또한 위아래의 초록,빨강 막대기는 변동성이 나타나는 막대기 라고 말씀 드렸죠,
그렇다면 이렇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롱 포지션 진입 조건
노랑색 스퀴즈 상태일 때는 횡보장이며 스퀴즈 해제가 되고 흰색으로 바뀌는 시점에 초록 모멘텀이 나타나게 되면 매수 신호.

숏 포지션 진입조건
노랑색 스퀴즈 상태일 때는 마찬가지로 횡보장이며 스퀴즈가 해제되고 흰색으로 바뀌는 시점에 빨강 모멘텀이 나타나게 되면 매도 신호.

이렇게 해석할 수 있습니다. 만약 자신이 단기 투자를 하신다고 한다면 잦은 매수 매도를 진행을 하셔야 할것이고, 스윙을 한다고 하시더라도 프레임이 큰구간에서 매수매도 진행시 스윙까지 가능한 전략입니다.
이러한 전략을 연습하여 매매에 참고하면 승률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대신에 스퀴즈 해제후 바로 진입하는것 보다는 몇개의 캔들을 더 보고 진입을 하는것이 안전할 수 있다는 점 참고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마무리
스퀴즈 모멘텀 지표는 단순히 하나의 지표가 아니라 볼린저밴드,켈트너 채널의 결합된 지표이기 때문에 따지고 보면 2가지의 지표를 보고 있다고 생각하셔도 됩니다. 다만 여기서 중요한 점은 시각화되어있기 때문에 좀더 편하게 매매를 할수 있는 하나의 옵션이 더 붙어있다고 생각하면 되겠죠.
또한 트레이딩뷰에서 에너지 축적(횡보), 폭발(추세)의 흐름을 읽너낼 수 있는 지표중 최고의 지표로 손이 꼽힌다는 점에서 아마 1위로 등극한 보조지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오늘 이 글을 읽으셨다면 트레이딩뷰에서 캔들이 지나가는 흐름,지표의 흐름을 모니터링 해보시고 실제 매매에 참고하셔서 도움이 되셨으면 하는 바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1.스퀴즈 모멘텀 지표는 어떤 원리로 작동하나요?
스퀴즈 모멘텀은 볼린저밴드와 켈트너 채널을 결합해, 가격이 크게 움직이기 전의 ‘스퀴즈(압축)’ 구간을 포착합니다. 이후 스퀴즈가 해제되면 강한 상승 또는 하락 모멘텀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원리입니다.
2.스퀴즈 모멘텀 지표 설정값은 어떻게 조정해야 하나요?
별도의 설정 변경이 필요하지 않으며 기본값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기본값은 BB Length 20, BB MultFactor 2, KC Length 20, KC MultFactor 1.5입니다. 이는 통계적으로 90% 이상 가격이 해당 구간 안에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3.스퀴즈 모멘텀 지표로 매매 신호는 어떻게 해석하나요?
노랑 점(스퀴즈 구간)이 끝나고 흰색으로 바뀌면서 초록 막대가 나타나면 매수(롱) 신호, 빨강 막대가 나타나면 매도(숏) 신호로 해석합니다. 다만 스퀴즈 해제 직후 바로 진입하기보다는 몇 개의 캔들을 더 확인한 뒤 진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