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시장에서 오랫동안 매매를 하다보면 엄청나게 자주 등장하는 패턴들이 눈에 보이기 시작하는데요, 그중 하나가 삼각수렴 패턴입니다. 이 패턴은 자주 보다보면 어? 여기서는 삼각수렴이 나타나겠는데? 하는 직감도 잘오는 패턴이라 아주 유용하게 쓰이죠.

삼각수렴 패턴은 간단하게는 시장의 힘이 한쪽으로 기울기전, 즉 추세가 나타나기 전에 나타나는 전조증상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는건 진입 타이밍을 잡는데 엄청나게 유용하게 쓰인다는 말이겠죠?
그럼 바로 알아보겠습니다.
삼각수렴 패턴이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모든 코인 차트를 보더라도 상승 또는 하락추세에서 반드시 삼각수렴 패턴 형태가 등장하게 됩니다.
이 구간(삼각수렴)은 시장의 에너지가 압축되어있다가 다음 추세로가는 폭발적인 힘을 응축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상승추세, 하락추세전에 무조건 나타나게 되어있습니다.

삼각수렴 패턴은 말그대로 삼각형 형태를 띄게 되는 패턴이며 가격의 고점과 저점이 시간이 지날수록 좁혀지면서 삼각형의 형태를 만들어내는 패턴입니다.
즉, 매수세와 매도세가 서로 자기들이 이길거라고 힘겨루기를 하는 과정에서 점점 변동폭이 줄어들게 되는거죠. 그리고 수렴의 끝자락에서는 이긴 세력의 추세로 결정나게 됩니다.
예를들면 매수세가 이겼으면 상승추세의 돌파, 매도세가 이겼으면 하락추세의 이탈이 일어나게됩니다.

그럼 삼각수렴 패턴을 알아볼텐데요. 알아보기전에 차트분석을 할때에는 모든 지표와 분석이 무료인 트레이딩뷰에서 분석을 하는것이 좋습니다. 비트코인 뿐 아니라 여러 종목까지 무료로 다룰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트레이딩을 할때 유용한 지표 2가지를 선정하였으니 같이 트레이딩뷰에 적용해서 공부하면서 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추세 알려주는 ADX지표, 추세장만 이용해도 계좌는 우상향
삼각수렴 패턴의 종류
삼각수렴이라고 해서 정삼각형만 있는것은 아닙니다. 매수세와 매도세가 서로 힘겨루기를 하는만큼 한쪽으로 균형이 취우쳐진 삼각형 형태부터 정삼각형 하락삼각형 등 여러가지 형태의 패턴이 존재할수있는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중 대표적인 3가지를 정리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상승 삼각수렴
상승 삼각수렴 패턴은 저점이 점점 높아지고 고점은 일정한 형태의 그림을 하는 패턴입니다. 말그대로 저점이 높아진다는것은 매수세력이 이기고 있다는 증거이며 고점이 일정하다는 뜻은 매도세력이 힘을 못쓰고 있다는 뜻이 되겠네요. 이렇다는건 상승 돌파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나게됩니다.

특징
- 저점이 점점 높아지는 형태로 매수세가 꾸준히 유입
- 고점이 움직임이 거의 없으며 일정한 상태
- 상승 돌파시 거래량이 동반된다면 강한 상승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큼
매매 꿀팁
1.상승 삼각수렴의 저항선을 명확하게 그려놓아야 됩니다. 고점부터 이어저오는 선을 쭉 이어보시면 됩니다.
2.저항선을 수렴 끝자락에서 거래량이 동반되며 돌파하는 순간 매수 진입시점, 또는 돌파후 저항선 지지 테스트시(눌림목)에 매수진입 시점이 됩니다.
3.손절은 다시 저항선 안으로 캔들이 들어와서 마감하는 경우 손절라인이 되게 됩니다.
하락 삼각수렴
하락 삼각수렴 패턴은 상승 삼각수렴과 반대로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고점이 점점 낮아지면서 저점은 일정한 형태로 유지되는 패턴입니다.
그렇다는건 매도세력의 힘이 더 강하다 판단을 하면 되는것이고, 하단선을 이탈할 경우 매도,손절 혹은 (숏포지션) 진입이 가능합니다.

특징
- 고점이 계속 낮아지는 패턴으로 매도세가 꾸준히 유입
- 저점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변동이 거의 없는 모습
- 하단선 이탈시 강한 하락세로 전환될 수 있음
매매 꿀팁
1.하단 지지선을 정확하게 그려놓아야 합니다. 저점부터 이어저온 선을 쭉 이어보시면 됩니다.
2.선물시장에서는 숏포지션이 존재하지만 현물에서는 없는관계로 예측보다는 돌파 후 추세 확인이 필요합니다.
3.선물시장에선 하단선 이탈 후 되돌림에서 숏포지션 진입해볼 수 있으며, 현물시장에서는 하단선 이탈시 손절라인이 될 수 있습니다.
대칭 삼각수렴
대칭 삼각수렴이라 하니까 어려울수있지만 그냥 정삼각형을 뜻합니다. 고점과 저점이 서로 수렴을 하는 과정에서 삼각형이 균등하게 좁혀지는 형태가 대칭 삼각수렴 패턴입니다.
이 패턴은 상승이나 하락 세력의 힘이 균등하기 때문에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상태이며 돌파하게된다면 눌림목에서 포지션 진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징
- 고점은 점점 낮아지고, 저점은 점점 높아지는 형태(균등하게)
- 상승과 하락 둘중 어디든 돌파가 가능함
- 수렴의 끝자락에서 거래량이 동반되는 캔들이 나온다면 신뢰도가 높음
매매 꿀팁
1.상단선 돌파시 눌럼목 매수, 하단선 이탈시 매도포지션 또는 손절로 대응
2.돌파 후 추세 확인이 중요함(돌파 후 지지를 받는지 여부 확인)
3.수렴 끝자락에서 나오는 양봉 또는 음봉 캔들이 장대 양봉,음봉일 수록 신뢰도가 높음
삼각수렴 패턴종류 정리
| 패턴종류 | 특징 | 진입 |
|---|---|---|
| 상승 삼각수렴 |
|
|
| 하락 삼각수렴 |
|
|
| 대칭 삼각수렴 |
|
|
삼각수렴 패턴 매매법
삼각수렴 패턴 매매법은 엄청 쉽습니다. 단순히 돌파하면 눌림목 진입, 이탈하면 매도 또는 손절로 대응하면 되니까요. 하지만 이 쉬운것도 매매방법을 정확하게 알아야 가능합니다.
1.추세선 그리기
- 고점과 저점을 각각 이어봅니다. 그리고 삼각형의 형태로 만들어 시각적으로 삼각형이 되는지 확인해봅니다.
- 고점에서 이은 선과 저점에서 이은 선이 교차되고 가까워질수록 방향이 곧 터지는 시점입니다.
2.거래량 확인
- 삼각수렴을 여러번 보다보면 눈에 보이게되지만, 일단 수렴이 시작되면 점차 거래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수있습니다.
- 그리고 수렴의 끝자락에서 거래량이 동반되며 추세가 나타나게 됩니다.
3.저항.지지선 돌파 후 눌림목 진입
- 캔들이 삼각수렴의 위아래의 어디에 있는 선이던 돌파를 했다면 돌파하고있는 순간에는 진입하면 안됩니다. 훼이크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
- 돌파를 했다면 다시 테스트를 하러 그자리 근처까지 오게 되는데 그때 다시 선안으로 들어오지 않고 지지를 받는다면 포지션을 들어가시면 됩니다. 즉, 눌림목에서 항상진입!
4.목표가 및 손절가 설정
목표가는 일반적으로 삼각수렴 초입부분 즉 처음의 고점과 저점의 높이가 수렴의 끝자락에서 나오게 됩니다.즉 삼각형의 높이가 숫자로 표현해서 10이라면 수렴끝자락에서 10만큼의 길이가 나오게 됩니다.그렇다는건 그 자리 근처에서 익절 설정을 해놓으시는게 좋습니다.
반대로 손절은 직전 저점 또는 고점 기준으로 설정하시는게 좋습니다. 이유는 이탈한다면 추세가 터질때 위에서 말씀드린 높이만큼 추세가 터질수 있기에 손실이 클수있기 때문입니다.
마무리
오늘 글에서 알아보았듯이 삼각수렴 패턴은 엄청나게 자주 등장하면서 실전에서도 자주 사용되는 매매법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패턴매매만 조금 알아놓더라도 어? 이거 내가 아는 패턴이네? 혹은 어? 이쯤에서 이 패턴이 나올거같은데 하고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삼각수렴은 매수와 매도세의 싸움의 흔적이라고 볼수있기때문에 어디로 튀어올라갈지는 항상 확인하고 들어가는것이 좋습니다.
또한 만약 위로 올라갈거같다고 예측해서 매매를 한다면 엄청난 손실로 갈수있으니 조심해야합니다.
저또한 그런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눌림목 매수는 필연적으로 하셔야한다는것을 강조 드리고 시장을 주도하는것은 시장 주인이기 때문에 확률이 높은곳에 투자한다면 승률 좋은 트레이더가 될수 있을것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1.삼각수렴 패턴이 나타났다고 해서 무조건 돌파가 일어나나요?
아닙니다. 삼각수렴 패턴은 “에너지가 모이는 구간”일 뿐이지, 항상 돌파가 일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는 ‘가짜 돌파(페이크 아웃)’도 자주 발생합니다. 따라서 캔들이 추세선을 확실히 돌파하고, 다음 봉에서 지지를 받는지 여부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즉, ‘돌파 확인 → 눌림목 진입’ 순서가 가장 중요합니다.
2.삼각수렴 패턴은 어느 시간봉에서 보는 게 가장 좋나요?
패턴 자체는 모든 시간대에서 나타나지만, 신뢰도는 4시간봉 이상에서 훨씬 높습니다.
1시간봉 이하에서는 변동이 잦아 ‘훼이크 돌파’가 자주 나오기 때문이죠.
단타 매매라면 1시간봉에서, 스윙이나 중기 매매라면 4시간봉 또는 일봉에서 삼각수렴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3.삼각수렴 돌파 시 목표가와 손절가는 어떻게 정하나요?
간단한 계산법이 있습니다.
삼각수렴 패턴의 초입부(가장 넓은 부분)의 높이만큼 돌파 방향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를 들어 삼각형의 높이가 500달러라면, 돌파 지점에서 약 500달러 위(또는 아래)가 1차 목표가가 됩니다.
손절가는 돌파선 안으로 캔들이 다시 진입할 경우 즉, 지지 실패 시 바로 손절하는 것이 안전합니다.